오늘은 노트북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다.
새내기들 혹은 공대생들, 게임을 위한 노트북을 찾지만 어느정도 성능이 필요한지 모르겠는 사람들, 그래픽 작업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 등등 요즘 노트북이 매우 잘나와서 찾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어려운 용어와 좀 잘나가는 블로그나 유투버들은 광고 협찬이 많기 때문에 믿기 힘든 리뷰들이 많을 것이다.
무턱대고 리뷰를 믿고 사기보다는 기본적인 지식은 알고 (간단하게만 알아도 선택권을 매우 좁힐 수 있다.) 선택권을 줄인뒤 각각 모델 리뷰를 보고 사는것이 좋다.
대학교 4년동안 나는 3대의 노트북을 구매했다. ( 내가 원래 전자기기를 매우 좋아한다)
그래서 각 용도별 쓰임별 노트북 고르는 방법과 간단한 스펙 정리등 컴퓨터를 모르는 사람도 알기 쉽게 설명 해 보도록 하겠다!.
1. 노트북 사용 용도 정하기
각각 5점 만점
A. 디자인
B. 가격(가성비)
C. 성능
D. 무게
E. AS 용의성
간단하게 노트북의 중요한 요소는 위에 5가지로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5가지 중에 어떤 것이 필요한가를 중점적으로 두고 구매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ㄱ. 대기업 프리미엄 노트북
대기업의 프리미엄 노트북이라 하면 삼성 galaxy book flex, LG 그램 , 맥북 정도가 있다.
대부분 가격대는 150 만원에서 300만원 사이이다. 뒤에 성능에 대해서는 간단하고 쉽게 기준을 잡겠지만 꼭 비싸다고 성능이 좋은것이 아니다.
모델별로 성능이 다르지만 거의 비슷비슷하다 (맥북 프로제외)
A. 디자인 5점
B. 가격(가성비) 2점
C. 성능 2점
D. 무게 5점
E. AS 용의성 5점
일단 이뻐야한다
나는 무게가 무조건 가벼워야한다
하지만 성능도 어느정도 받쳐주어야 한다. (간단한 게임 가능 ex 롤, 오버워치(낮음 옵션))
성능대비 비싼 가격을 주고 살 생각이 있다(낮은 가성비)
그리고 뭔가 노트북을 자주 고장낼것같다
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요즘은 cpu가 잘나오고 내장 그래픽 카드도 많이 좋아져서 오버워치 중간 옵션정도는 돌아간다. 그러나 게임을 할 생각이라면 발열, 프레임 등등 목적에 맞지않는 선택이다.
2. 대기업 가성비 노트북 (삼성 노트북 플러스 등등)
A. 디자인 - 4점
B. 가격(가성비) - 4점
C. 성능 - 2점
D. 무게 - 3점
E. AS 용의성 - 5점
대기업 프리미엄 라인업과 차이는 크게 없다. 프리미엄 라인 노트북이 조금 더 가볍고 스크린이 더 좋고 내장 부품이 더 좋지만 애초에 여기저기 많이 들고다니는데 문서작업 웹서핑 유튭 시청등의 목적이라면 충분한 성능이다. 그리고 당연히 초 저사양 게임 ( 메이플같은거 )은 돌아간다.
꽤 이뻐야한다
나는 무게가 나름 가벼워야한다
게임은 안한다. 문서작업 위주로 할 것이다
대기업 제품치고 킹성비가 중요하다. 그렇게 좋은 성능도 아니면서 가볍고 대기업 제품이라고 고가의 노트북을 사는건 손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
그리고 뭔가 노트북을 자주 고장낼것같다
라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3. 대기업 게이밍 노트북
이것도 기종마다 차이가 크지만 대부분
오버워치 100 프레임 거뜬 , 배그 중간 옵션 가능 , 모델링 프로그램 전문가 말고 학부생 수준에서 문제 없음 , 수치해석 프로그램 학부생 수준으로 문제 없음
A. 디자인 - 4점
B. 가격(가성비) - 2~4점 (라인업마다 가성비 차이가 매우 심하다. 대기업 게이밍 노트북 사려면 어느정도 잘 알아야한다)
C. 성능 - 4~5점
D. 무게 - 1~5점 ( 이것또한 매우 다양하다 )
E. AS 용의성 - 5점
대기업 게이밍 노트북은 약간 고수의 영역이다
게이밍 노트북 하면 떠오르는 브랜드는 msi , 레노버 , asus , gigabyte , hp , 한성 등등 여러가지 중소기업 노트북이 떠오른다.
많은 사람들이 대기업 게이밍 노트북은 별로다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대기업 게이밍 노트북 대부분이 별로인것은 맞지만 몇몇 눈에 띄는 장점을 가진 노트북이있다.
요즘은 대기업들도 경쟁력있는 게이밍 노트북을 많이 내놓고 있다.
대표적인 괜찮은 모델로는 삼성의 노트북 플러스 2 이다. 물론 위에 나열한 브랜드의 제품은 동일가격으로 더 좋은 스펙의 노트북을 구매 할 수 있다.
그러나 분명히 장점이 있다
11세대 인텔 cpu i7 탑재 , 외장그래픽 gtx 1660 과같은 제품이 탑재되어 있는데
두께도 정말 얇고 무게도 1.8kg 정도로 가벼운 노트북이 필요하다 한다면 매우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노트북으로 게임을 할 것이다
그리고 matlab , ansys , autocad , creo , 프리미어 등등 작업도 할것이다
그러나 들고 다닐 수 있을 만큼 가벼워야 한다
나는 암걸리지 않고 as를 받아야겠다
게이밍 노트북이지만 학생이라 여기저기 들고다녀야해서 가벼워야한다
그리고 가방에 넣어야해서 얇아야한다
어느정도 돈이 있다
라고 한다면 구매를 추천한다
4. 중소기업 게이밍 노트북
스펙마다 매우 다르다 그러나 좋은 스펙으로 사면
심즈 풀맥 cc템 사치부리면서 가능 , 배그 100프레임 거뜬 , 오버워치 100프레임 so easy , 영상편집? 이건 데스크탑으로.....
A. 디자인 - 1점 ( 개인 취향인데 msi , gigabyte , 레노버 디자인 정말 내취향 아님 그나마 아수스 ㄱㅊ....)
B. 가격(가성비) - 5점
C. 성능 - 5점
D. 무게 - 0점 노트북 앞에 thin 들어간게 많은데 정말 몇몇 제품 말고는 thin 다 거짓말이다 꼭 직접 보고 사야한다
E. AS 용의성 - 0점 ( as 받을바에 걍 새로 사는게 정신건강에 더 좋다)
중소기업 게이밍 노트북은 정말 좋은 성능을 저렴하게 구매 할 수 있다
정말로 요즘 노트북 진짜 잘나온다
게임을 전문적으로 즐기고 진짜 진짜 예민한 사람 게임을 하루종일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게이밍 노트북으로도 충분히 매우 즐겁게 거의 대부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각각 중소기업 노트북마다 특징이 뚜렷한데, 일단 디자인이 정말 천차만별이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 두껍다 ( 물론 그래픽카드가 좋은거여서 얇기는 힘들다 냉각성능도 두꺼워야 좋다)
그러나 두꺼워서 좋다기보다는 얇게 안만들어서 싼게 더 크다.
그리고 진짜 무겁다. 진짜로 이거 가방에 메고 들고다니는 사람 정말로 튼튼한 사람이다
대부분 2.5kg 정도 나오는데 1.8kg 이랑 2.3kg이랑 별 차이 없는거 아냐? 라고 말하는 사람들
근육맨이거나 사용안해본 사람이다. 진짜로 가방에 넣고 다니면 차이 진짜 크다.
나는 거의 집에 놔두고 사용할거다
게임을 많이 할거다
무거운 게임을 할거다
가성비가 중요하다 비싼돈 내고 성능이 더 떨어지는 대기업 노트북 사는게 너무 화가나서 못참겠다
나는 as 따위는 쿨하게 포기 할 수 있다
디자인이 그렇게 신경쓰이지 않는다
아무튼 성능이 좋은게 장땡 아님?
난 튼튼해서 무거운거도 잘 들고다닐 수 있다.
라는 사람들에게 추천한다
쓰다보니까 길어져서 부품에 대한 설명은 다음 글에서 써야겠다
그래도 어려운 말 없이 사용 용도에 따라 분류를 해보았는데
이 글을 보고 어떤 종류의 노트북을 살 것인지 큰 틀은 잡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노트북 부품 스펙 ( 초보자용 ) (0) | 2021.01.24 |
---|
댓글 영역